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서울시 임산부 교통비 신청, 잔액 확인 방법 서울특별시에서는 작년부터 임산부에게 70만원의 교통비 지원을 하고 있는데요. 서울 거주기간 6개월 이상, 임신 3개월 부터 출산 후 3개월 이내의 임산부라면 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외국인 임산부도 조건에 맞을 경우 신청 가능 → 홈페이지 참고해주세요) 서울시 임산부 교통비 신청방법 서울시 임산부 교통비 신청은 '서울맘케어' 홈페이지에서 신청 가능합니다. 임신 중 신청 가능한 사이트(정부24, 서울맘케어, 주민센터)가 있고, 출산 후 신청 가능한 사이트(서울맘케어, 주민센터)가 있는데요, 둘 중 어느 경우라도 서울맘케어 에서 신청할 수 있으니 특별한 사유가 없는 한 서울맘케어 신청하면 됩니다. https://www.seoulmomcare.com/main/main.do 서울맘케어 - 서울시 임산부 교통.. 더보기
2023년 출산혜택 북스타트 신청, 엄마 북(Book) 돋움 사업 대상, 신청방법, 제공 내용 서울시 출산 혜택 중 하나인 북스타트 이전에는 도서관에서 신청, 제공해줬었는데요. 올해부터 '엄마 북(Book) 돋움사업' 이란 이름으로 온라인 신청, 택배로 수령할 수 있습니다. 이전에는 근처 도서관 수량이 있어야지 신청이 가능한 부분이 있어 불편한 부분도 있었는데요, 아이의 어휘력 향상과 시기에 맞는 좋은 책을 조금 더 편리하게 무료로 받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 엄마 북(Book) 돋움사업? 서울시에서 제공하는 도서 서비스로, 부모 책 1권 + 아이 책 2권 + 서울시 육아정책정보 책상자를 제공한다고 합니다. - 신청대상 : 서울시 거주기간 6개월 이상이며, 임신 3개월~출산후3개월 이내 - 신청방법 : 서울맘케어 홈페이지를 통해 신청 https://www.seoulmomcare.com/main/ma.. 더보기
출생신고 인터넷/동사무소 장단점 (fear. 과태료 금액, 구비서류 등) 출생신고는 출생일로부터 30일 이내 신고해야 과태료를 내지 않습니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번거롭더라도 '방문해서, 30일 전에' 출생신고 하는 것을 추천하는데요. 인터넷 신고와 동사무소 신고를 먼저 비교해 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1. 온라인 출생신고 에서 가능합니다. https://efamily.scourt.go.kr/index.jsp 대한민국 법원 전자가족관계등록시스템ED[1/6] 사이트 내 전체검색 efamily.scourt.go.kr 온라인 출생신고의 장점으로는 바로 할 수 있고, 어디서든 할 수 있고, 언제든 할 수 있다는 겁니다. 이동이 번거롭거나 주소지 동사무소가 먼 거리에 있는 경우 온라인으로 하면 편리하겠죠. 반면, 단점으로는 온라인 출생신고와 연계된 병원이 아니면 신고가 어렵고 출산 시의.. 더보기